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곱하기 : 투자95

사회초년생 1억모으기 #7. 정기적금 선납이연 어피티 머니레터에 연재한 내용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에 대해서 알아봤고, 이번 포스팅은 활용 방법이다! 정기적금은 (1) 정해진 금액을 (2) 정해진 기간만큼 납입했을 때 (3) 정해진 이자를 받는 상품이다. 여기서 (2)번 정해진 기간을 변형하면, 정기적금을 예금처럼 활용할 수 있다. 정기적금 선납이연, 적금을 예금처럼 활용하는 방법 정기적금에 꼼수를 더해 예금처럼 활용하는 방법을 일명 이라고 부른다. 이름 그대로 납입일보다 먼저 납입하고, 납입일보다 늦게 납입하는 방식이다. 선납이연을 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예금금리보다 적금 금리가 높고, 자유적금보다 정기적금의 금리가 높기 때문이다. 목돈이 생겼을 때 금리가 낮은 정기예금에 묶어두는 것보다, 금리가 높은 정기적금에 예치했을 때 .. 2020. 7. 21.
사회 초년생 1억 모으기 #6. 자유적금은 언제 납입해야 가장 좋을까? 어피티 머니레터에 연재한 내용입니다. 적금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한 달 중 어떤 날에, 얼마를 납부해도 상관이 없는 자유적금과, 정해진 날에 정해진 금액을 납부하는 정기적금. 그 중 오늘 알아볼 것은 자유적금이다. 자유적금, 언제 가입하느냐에 따라 이자가 다르다! 자유적금은 한 달 중 어떤 날에 납부해도 상관이 없지만, "이자"에는 상관이 매우매우 있다. 자유적금의 이자는 '일할' 계산이 들어간다. 가입 첫 날 납입을 한 금액에 대해서는 365일치의 이자가 계산되고, 30일 후 납입한 금액에 대해서는 (365-30)/365 만큼의 이자가 적용이 되는 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빠른 날짜, 즉 월초인 1일에 납입하여 하루라도 이자를 더 받는 것이 더 이득이다. 한 가지 더, 가입일.. 2020. 7. 20.
사회초년생 1억 모으기 #5. 적금 활용 백서 - 고금리 특판, 제2금융권 고금리 특판 적금 재테크 시작하고 1~2년은 예적금에 푹 빠져있었다. 특히 고금리 특판 상품들! 은행에서 경쟁적으로 고금리 상품들을 출시하면, 여력이 되는한 빼먹지 않고 가입했다. 월 납부 금액이 15~30만원 정도로 제한적이긴 하지만, 여러 개를 가입해서 꽤 큰 금액을 고금리 적금에 저축할 수 있었다. 아래 표는 얼마 전까지의 적금 납부 현황이다. 고금리 적금을 찾아 헤맨 하이에나답게, 최대 11.3%의 금리까지 보기만해도 뿌듯한 적금 표다. 지금은 꽤 많은 적금이 쏠쏠한 이자와 함께 만기를 맞이했다. 고금리 적금을 가입할 때는 무조건 최대 금액, 최장 기간으로 가입한다. 요즘같은 저금리 시대에는,언제 또 고금리 상품이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이자를 가능한 한 많이 타기 위함이다. 대학생 때만 하더라도.. 2020. 7. 19.
신협 정기예금 만기 : 200만원, 2.56%, 이자 월지급식 1년 전에 가입한 신협 예금. 당시 이자가 2.56%였고, 제2금융권 세금우대 한도 꽉 채워서 약 200만원을 가입했다. TMI : 13원이 비는 이유는,, 당시 통장에 남아있던 짤짤이 13원을 다른 예금 가입할 때 그냥 같이 묶어버렸기 때문! 이자는 약 5만원인데 이 정기예금의 경우, 월 지급식으로 이자를 받았다. 만기 때 한꺼번에 받는게 아니라 다달이 이자가 들어오는 방식이다. 마치 월세처럼! 그리하여 나는 4216원을 매달 지급받았다. 예금 금액이 200만원이어서 이 정도지, 2000만원이었다면 4만원, 2억원이었다면 40만원이 따박따박 나왔겠지. 행복한 상상이다. 단점은 매달 찔끔찔끔 들어오니까 별로 재미가 없다는 점. 만기일임에도 원금만 들어와서 만기의 기쁨도 그닥 없다. 보완할 방법을 생각해봤.. 2020. 7. 11.
사이다뱅크 자유적금 만기 (연10%, 10만원) 사이다뱅크 대란을 일으켰던 연10% 적금이 만기됐다. 이거 가입하려고 대기타던 게 벌써 1년 전이라니 시간 참 빠르다. 월 10만원씩 1년 불입했고 이자는 총 58,584원. 네이버 적금이자계산기보다 4000원 가량 많은건 내가 매달 1일에 돈을 불입했기 때문이다. 자유적금은 하루라도 더 이자를 받기 위해 매달 1일에 불입 하는게 이득이다. 다음 포스팅에서 이거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겠음! 2020. 7. 8.
청약 아파트 별 1순위 자격 및 가점제 항목 (국민주택/민영주택) 청약 아파트 청약을 넣을 수 있는 아파트는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으로 구분된다. 국민주택 국가나 지자체, LH 및 지방공사가 직접 건설하는 주택 또는 공공 민간에서 국가나 지자체의 재정 및 주택도시기금을 지원받아 건설하는 주택.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주택을 말한다. 공공택지 위주로 분양을 하여 분양가가 저렴한 편. 자격 조건은 그만큼 더 까다롭다. -. 공공분양 : 분양을 목적으로 공공이 공급하는 주택 -. 공공임대 : 임대 또는 임대 후 분양 전환을 목적으로 공공이 공급하는 주택 ( 영구임대주택, 국민임대주택, 행복주택, 장기전세주택, 분양전환공공임대주택, 기존주택매입임대주택, 기존주택전세임대주택) 국민주택 청약 1순위 조건 -. 청약 자격 발생 기준일 : 최초 입주자 모집공고일 -. 가입기간 & 납.. 2020. 6. 14.
금테크 : 5% 수익 후 매도 / 신한 골드리슈 골드테크 신한 골드리슈 골드테크 통장 사용 중이다. 8월에 금통장을 개설하여 매일매일 5000원씩 매수하고 있다. 보통 0.08g씩 매수가 체결되고, 금값이 많이 떨어졌을 때는 0.09g 씩 체결이 됐다. 이게 바로 내가 의도했던 cost leverage 효과! 어느덧 6개월이 지났고, 금 10g을 돌파했다! 수익률 목표를 5%로 잡고 알림 설정을 해두었는데 오늘 드디어 문자가 왔다. 월초에는 정기수익률이 문자로 오고, 목표 수익률 달성 시에는 추가로 문자가 온다. 이 문자만을 얼마나 기다렸던지! 보다시피 1월 정기 수익률은 무려 -2.41%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그럴 때는 얼씨구나 추가매수! 했었어야지! 2월은 코로나 이슈 때문에 금값과 달러가 폭등하여 둘 다에 영향을 받는 금통장이 쭉 올라주었다. 그래프로 가.. 2020. 2. 19.
P2P 금융법 시행령 제정안 : 대출액 70억원 이내로 / 투자자 개별 500만원, 전체 5000만원으로 제한 출처 : 한국경제신문 20/1/28(화) A14금융위원회, P2P 금융법 시행령 제정안 27일 발표입법 예고 기일 20/2/9 이고 심의와 국무회의 통과 등을 거쳐 21년 초 시행될 전망 P2P금융법 시행령 제정안 주요 내용 P2P 대출 중개 업체, 차입자별로 70억원 이내까지만 대출 허용개인투자자, P2P 업권 전체에 5000만원까지만 투자 가능개인투자자, 차입자별로 500만원까지만 투자 가능P2P업체, 전체 대출채권의 20%까지 투자 가능P2P 업체에 신용조회업, 금융투자업, 전자금융업 등 겸영/부수업무 허용 P2P 업계 현황2019년 말 기준, 239개 P2P 업체가 약 2조3800억원을 빌려주고 있음. 누적 대출액 8조 6000억원2만여 건의 대출 중, 개인 신용 대출 73%, 부동산담보/PF대출.. 2020. 1. 28.
[주식지표] PER이란? 주가수익비율 PER(주가수익비율) : 저평가된 종목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하는 지표 A기업의 1년 순이익이 1억원, 총발행주식 수가 1만 주라면? 주식 1주가 벌어들인 순이익은 1만원 "1주당 순이익" => EPS (주당 순이익, Earning Per Share) A기업의 현재 주가가 5만원이라면, 주식 1주가 발생시키는 순이익 1만원에 비해서 5배 높이 평가 받고 있다. "현재 주가가 1주당 순이익에 비해서 몇 배로 평가받고 있는가?" => PER (주가수익비율, Price Earning Ratio) 네이버 증권에서 기업의 PER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삼성전자의 PER은 FnGuide 기준 8.45배다. (* FnGuide : 보통주 + 우선주 / KRX : 보통주) PER이 낮을수록 시장에서 기업이 가지고 있는 .. 2019. 10. 26.
반응형